리서치 하이라이트
소행성대 쌍성계처럼 움직이는 소행성 커플
Nature 549, 7672
일부 소행성은 혜성과 유사한 활동을 보이며, ‘소행성대 혜성’으로 명명되어 왔다. Jessica Agarwal과 공동연구원들은 이러한 소행성대 혜성 중에 하나가 유사한 질량을 가진 원거리 쌍성계(wide binary system)를 형성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고하였다. 이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하나에 비해서 훨씬 크며, 서로 근접하여 공전하고 있는 일반적인 쌍성계 소행성과는 상반되는 것이었다. 저자들은 표면 아래의 얼음 승화가 활성화를 유도하며, 승화에 의해서 만들어진 회전력이 쌍성계의 공전을 유발하는 역할을 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2017년9월21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광견병 바이러스를 이용한 스크리닝을 통해 밝혀진 코카인 중독에 의한 신경 세포 변형에 대한 GPe 조절
ILC2-유도 알레르기성 폐 염증을 증폭시키는 신경성 펩타이드 NMU
적혈구-골수 전구세포에서의 체세포 돌연변이에 의해 유발되는 신경퇴행성 질환
표지 기사: 미토겐과 p53 신호전달 간의 경쟁을 통한 세포 주기 진입 조절
팔미트화에 의한 MC1R 활성화를 통한 흑색종 발생 위험 감소
단백질-DNA 사다리 형성에 의한 HMGB/TFAM 결합 U-턴 DNA를 감지하는 cGAS
소행성대 쌍성계처럼 움직이는 소행성 커플
절반이 채워진 이중층 그래핀 란다우 레벨에서 조절 가능한 합성 페르미온 위상
3D 프린팅을 통해 만들어진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