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피부 조직의 성장 항상성 조절 메커니즘

Nature 548, 7667

세포에는 자주 돌연변이가 발생하지만, 이들이 암 조직으로 자라는 것은 매우 드문 일이다. 우리의 몸이 이와 같이 손상된 세포를 어떻게 처리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었다. Valentina Greco, Slobodan Beronja 와 공동연구원들은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유전적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는 피부 줄기세포가 있는 유전자 조작 생쥐를 만들었다. 저자들은 생쥐가 살아 있는 상태에서의 이미지 촬영을 통해서, 활성화된 Wnt/β-catenin 또는 종양원성 Hras에 의해서 과잉 증식이 일어났으며, 그 후에 퇴행으로 이어졌다. 피부 조직 구조의 변형은 과잉 증식의 퇴행에 대한 직접적인 원인이었다. 돌연변이 세포를 포함하고 있는 이상 구조의 해체는 주변 야생형 세포의 활성이 필요하다. 돌연변이 세포는 기능성 피부 조직에서 제거되거나 포함되게 된다. 흥미롭게도 레이저를 이용한 피부조직 구조의 생리적인 조작은 유사한 연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