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염화비닐을 에너지 대사에 이용하는 미생물

Nature 424, 6944

에너지 대사과정 중에 염화비닐(vinyl chloride)을 분해하는 새로운 형태의 미생물이 분리됨으로써 식수를 오염시키는 주요 물질인 염화비닐로 오염된 저수지를 생물 정화(bioremediation)를 통해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염소화 용제(chlorinated solvent)는 주요한 환경 오염을 유발하며, 자연계에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작용들을 통해서 염소화 용제와 같은 독성을 나타내는 염화비닐과 같은 분해 산물들이 체내에 축적되어 훨씬 더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새롭게 분리된 세균은 편성 혐기성 세균(strict anaerobe)으로써 생장을 위해 염화비닐(vinyl chloride), 디클로로에탄(dichloroethane), 또는 브롬화 비닐(vinyl bromide) 등을 전자 수용체(electron acceptor)로 이용한다. 미시간에 위치하고 있는 바흐맨 로드(Bachman Road)의 오염지역에서 파일롯 크기(pilot-scale)로 실험한 결과, 오염 현장에 첨가된 미생물들이 서식하고 있는 식물상(flora)에서 염소 화합물들의 완전한 분해를 돕는다는 사실이 제안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