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글로벌 토양 1차 생산량에서의 대규모 역사적 성장

Nature 544, 7648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에 의한 토양의 전체 1차 생산량(gross primary production, GPP)의 잠재적인 성장은 거의 밝혀진 바가 없었다. 이 때문에 토양 탄소 저장 및 탄소 순환 기후 피드백에 대한 추정 모델은 항상 큰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을 수 밖에 없었다. 이번 주 네이처에 게재된 연구 논문에서는 지난 20세기 동안에 있었던 GPP 성장을 식물의 잎에 의한 흡수와 같이 공급원과 흡수원의 변화에 반응하는 대기 중 카르보닐 황화합물에 대한 장기 간에 걸친 추적을 바탕으로 예측하였다. 저자들은 시뮬레이션 모델의 도움을 통해서 카르보닐 황화합물 기록이 기후-탄소 순환 모델 시뮬레이션과 가장 잘 들어맞았는데, 이 모델에서는 30%의 성장이 지난 20세기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었다. 카르보닐 황화합물에 대한 분석은 글로벌 스케일에서 역사적인 탄소 순환에 대한 벤치마킹을 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