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암세포 내에서 PI3K-mTOR 대사경로의 억제인자로 작용하는 NLRC3
Nature 540, 7634
현재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세포막 센서인 NLR 계열의 내인성 면역 센서인 NLRC3의 발현은 대장암 환자에게서 분리된 종양 조직에서 매우 감소해 있는 것이 확인되며, 암 생물학에 관여되어 있을 가능성이 제안되었다. Thirumala-Devi Kanneganti와 공동연구원들은 NLRC3가 결핍된 생쥐가 대장염 및 대장암에 쉽게 걸린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저자들은 NLRC3가 종양 생성을 돕는 mTOR 신호전달 경로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2016년12월22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표지 기사: 2016년 올해의 인물 TOP 10
무척추동물의 RNA 바이러스 리스트
빠르게 떨어져 나오는 유방암 세포 전이 씨앗
다이어트 후 요요 현상 속도와 관련된 지속적인 장내 미생물총 변화
1990년대 초기 이후에 넓어지긴 했으나, 강화된 것은 아닌 아굴하스 해류
스트레스 반응성 전사 경로에 의한 mRNA 품질 관리 절차 바이패스
트리할로스-6-포스페이트를 이용하여 작물 생산성 및 건조 내성 증가
암세포 내에서 PI3K-mTOR 대사경로의 억제인자로 작용하는 NLRC3
인테그린-YAP/TAZ-JNK 대사 경로와 동맥경화에 대한 단일 방향성 전단 흐름
144개의 작은 구성인자로부터 형성된 자가 조립 4원자 골든버그 다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