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불안감 및 공포 증대 회로에 관여하는 세로토닌
Nature 537, 7618
세로토닌은 신경 회로를 통해서 기분을 조절하지만, 이에 대해서 거의 밝혀진 바는 없었다. Thomas Kash와 공동연구원들은 세로토닌이 생쥐에서 불안감 유사 상태를 유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저자들은 배측 봉선 핵에서 자율신경계, 신경 내분비계, 그리고 행동학적 반응을 조절하는데 관여하는 전뇌 구조인 붕계 섬유줄의 베드 핵(bed nucleus of the stria terminalis, BNST)로의 세로토닌 분비가 BNST로부터의 불안감 발산을 복측 피개영역과 내측 시상하부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는 코티코트로핀-방출 인자(corticotrophin-releasing factor, CRF)를 활성화시킨다. 저자들은 이러한 회로가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erotonin reuptake inhibitor, SSRI)인 플루옥세틴의 급작스러운 투여에 의해 유발된 불안감 유사 행동을 전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저자들은 유사한 메커니즘이 불안감 이상이 있는 일부 환자에게서 일어나는 SSRI 치료에 대한 초기 부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제안하였다. [Letter, 97쪽]
2016년9월1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암세포의 산소 결핍 상태에 의한 DNA 과잉 메틸화 및 TET 활성 억제
북아메리카로의 인류 이주 경로로 추정되는 빙하가 없었던 경로의 인류 생존 가능성
생쥐, 원숭이, 그리고 사람에 이르는 포유류에서의 다능성 세포의 배아기 발달 조절 메커니즘
표지 기사: 알츠하이머 치료용 단일클론 항체, 아두카누맙의 임상 효능
재료에 따른 레이저 펄스 시퀀스와 횟수 조절을 통한 세기 조절
지구 크기 외계 행성 TRAPPIST-1 b와 c의 조합된 전이 스펙트럼 관측
로제타 탐사선을 통한 67P/츄류모프-게라시멘코 혜성 먼지 입자 실시간 분석
불안감 및 공포 증대 회로에 관여하는 세로토닌
HER2 발현에 따른 유방암 세포의 2가지 상태 서브 타입 세포 생성 및 특성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