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세균의 돌연변이 생성에 대한 확률 및 메커니즘
Nature 534, 7609
세균에서 일어나는 자발적인 돌연변이 비율에 대한 지식은 기초 진화 프로세스에 대한 연구와 이들이 가지는 다양한 임상적인 환경에서의 잠재적 가치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하다. 세균의 De novo 돌연변이는 고속-대량 염기서열 분석에서 타깃으로 하기 매우 어렵지만, 최근 Justin Jee 등은 세균 집단에서 매우 드문 변이를 검출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였다. MDS(Maximum-depth sequencing)라고 명명된 이 방법은 에러-수정, 고속-대량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서 세균 집단에서 매우 드문 돌연변이를 검출할 수 있다. 저자들은 이 방법을 이용하여 대장균에서 발생하는 유전자위 특이적인 돌연변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MDS는 특정 형태의 핵산이 잘못 삽입되면 나타나는 돌연변이를 기본적인 돌연변이 비율에 비해서 104배 더 흔하게 발생하지만, in vivo에서의 실험이 필요하여 기존 방식으로는 검출할 수가 없었다. 저자들은 MDS를 이용하여 항생제에 의한 돌연변이 메커니즘도 밝힐 수 있었다.
2016년6월30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64만년 전 아시아 몬순 기후에 대한 기록과 빙하기의 종식
KRAS 돌연변이 폐암 세포 치료를 위한 조합 치료
포유류 초기 이식 배아에서의 염색질 구성 및 조절 인자
튜닝 가능한 단일 레이드버그 원자의 2차원 어레이를 통한 이싱 모델 현실화
표지 기사: 액체의 고체 표면 부착과 정지 마찰 간의 전환
5백만년~1천만년 정도된 젊은 별 주변을 공전하고 있는 해왕성 크기의 행성
심실 벽 구성과 관련된 심근 세포 상호작용
세균의 돌연변이 생성에 대한 확률 및 메커니즘
숙주에 의한 당류 산화를 통한 항생제 치료 후 병원성 세균 증식 메커니즘
쌍 패각류에서 확인된 전이성 암 조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