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3′-UTR 손상에 의한 PD-L1 반응성 확인을 위한 진단 가능성
Nature 534, 7607
일부 환자들에게서 PD-1(programmed cell death)을 이용한 한우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이들의 기질인 PD-L1은 면역계의 회피 때문에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Seishi Ogawa와 공동연구원들은 PD-L1의 3’-부위를 구조적으로 변형시키게 되면, PD-L1 단백질의 과잉 발현이 유도되며, 그 결과 T-세포 백혈병과 미만성 거대-B세포 백혈병을 비롯한 다수의 인간 암세포에서 면역 회피가 촉진되었다. CRISPR-Cas9에 의한 PD-L1의 3’-UTR 제거는 생쥐 암 모델에서 면역 회피를 유발하였으며, 따라서 PD-L1 3′-UTR의 손상 여부 확인이 항-PD-1/PD-L1 치료에 대한 효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진단 마커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16년6월16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표지 기사: 유도만능 줄기세포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단백질 합성에 의해서 조절되는 줄기세포 기능과 스트레스 반응
P53과 c-MYC에 대한 듀얼 타깃을 통한 골수성 백혈병 줄기세포 제거
67P/츄르모프-게라시멘코 혜성에서 확인된 이열 편 핵의 재구조화 가능성
다능성 줄기세포 및 생식 세포 발달에 있어서 동시에 관여하는 CBFA2T2 수용체
비-마르코프 프로세스에 대한 최초의 주요 특성 분석
내인성 강자성 스위칭 현상
3′-UTR 손상에 의한 PD-L1 반응성 확인을 위한 진단 가능성
전신 RNA 전달을 통한 항암 면역 치료법
섬유아세포에서 신경 세포로의 직접 재프로그램화와 관련된 신호 전달 경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