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새롭게 생성된 2차 열대 우림에서의 생태계 재복원
Nature 530, 7589
전세계 열대 우림의 절반 이상이 인류 발생에 따른 방해에 의해서 유발된 2차 성장의 결과물이다. 따라서 열대 우림의 2차 회복이 기존 우림과 동일한 생태계 시스템까지 회복되는데 얼마나 빠른 시간이 걸리는지에 대해서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저자들은 새롭게 형성된 우림에서의 탄소 제거에 집중하였으며, 탄소 흡수가 기존 우림에 비해서 훨씬 빠르며, 평균 66년 만에 탄소 저장량의 90%까지 회복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회복 잠재력에는 변화폭이 매우 넓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우림의 소실과 잠재적인 회복이 어떻게 이루어질 것인지에 대해서 여러 지역에 응용하여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etter, 211쪽]
2016년2월11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표지 기사: ‘무어의 법칙’ 시대가 끝났지만 계속해서 진행될 정보 과학 혁명
보체 구성인자 4의 복잡한 변이에 의해 발생하는 정신분열증 발병 위험성
생쥐의 하이브리드 불임을 제거할 수 있는 PRDM9 징크-핑거 단백질 재조합
수명과 건강 상태에 영향을 주는 자연 발생적인 노화 세포
새롭게 생성된 2차 열대 우림에서의 생태계 재복원
마지막 빙하기부터 지속된 남반구 심해저 산소 생성과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동기화
말라리아 원충 Plasmodium의 프로테아솜에 대한 선택적 억제제
장기간의 조혈모 세포 유지와 니치 유지에 관여하는 Hoxb5 유전자
불완전한 결정을 이용한 고해상도 단백질 X-선 회절 구조 분석
실시간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발병 현장에서의 에볼라 바이러스 감시 체계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