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지방 저항성 Treg세포의 감소를 통한 연령 연관성 인슐린 저항성 예방

Nature 528, 7580

연령에 따른 인슐린 내성(insulin resistance, IR)과 비만과 관련된 인슐린 내성은 성인이 되어서 나타나는 당뇨병이면서도 생리학적으로 매우 구분이 된다. 비록 대식세포에 의한 염증반응이 비만에 의한 당뇨병과 연관되어 있지만, 연령과 연관된 인슐린 내성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었다. Ronald Evans와 공동연구원들은 지방에 존재하는 조절 T 세포(fat-resident regulatory T cell, fTreg)가 연령과 관련된 인슐린 내성에서 보호되지만, 비만과 연관된 인슐린 내성 및 대사성 질환에서는 영향을 받기 쉬워지게 된다. ST2항체를 통한 fTreg의 감소는 지방 조직에서의 인슐린 민감도가 증가하게 된다. 비록 이번 연구에서의 주요 목적은 아니었지만, 이러한 발견이 fTreg가 비만과 관련된 인슐린 저항성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인지, ‘티아졸리디네디온’ 또는 ‘글리타존’과 같은 항당뇨병 약물의 효능에 대해서 밝힐 수는 없었다. 이번과 같은 상반되는 결과를 통해서, Treg 세포들이 비만 생쥐에서 티아졸리디네디온 약물이 피오글리타존에 의한 인슐린 민감성을 높이는데 필요하며, 도움이 되는 것이라는 사실은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