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동물의 행동을 조절하는 단맛 및 쓴맛 인지 뇌 영역
Nature 527, 7579
포유류의 경우 혀에 있는 세포의 미각 수용체에 들어온 정보가 다중 신경 스테이션을 통해서 뇌에 있는 1차 미각 피질로 전달된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쓴맛과 단맛은 설치류의 미각 대뇌 피질에 있는 서로 다른 영역에 의해서 인지되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었다. Charles Zuker와 공동연구원들은 살아있는 생쥐에서 이러한 서로 다른 대뇌 피질 미각 영역을 직접 조작함으로써, 내부 정보 전달과, 감각 인지, 그리고 행동 방식을 조절하여, 학습과 경험과는 별개로 정보가 제공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서 미각에 대한 궁극적인 특성을 묘사할 수 있게 되었다.
2015년11월26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표지 기사: 파리 글로벌 기후 컨퍼런스
췌장에서의 조혈 작용 관련 메커니즘
고아 수용체 GPR68 및 GPR65의 약물학적 리간드 확인
폐로의 암 전이에 필요하지는 않지만, 화학 약물 내성에 관여하는 EMT
반색 동물 지놈 및 신구 동물의 기원
식물의 성 페로몬에 의해서 유도되는 식물 병원체 성장 방향성
금속-유기 프레임워크를 통한 다공성 물질에서의 초과 흡수 및 흡수체 초 격자 형성
동물의 행동을 조절하는 단맛 및 쓴맛 인지 뇌 영역
초고속 초음파 국소 현미경을 이용한 미세혈관 이미징 기술
달 형성의 기원
온도 변화에 의해 조절되는 초파리 일주기성 시계 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