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상온에서 구현한 대규모 비정형 홀 효과
Nature 527, 7577
흔히 경험하게 되는 홀 효과는 자기장이 존재 하에서 전류가 흐를 경우, 전도체를 가로질러서 형성되는 전압 차이를 설명하고 있다. 강자성체의 경우, 원래 가지고 있는 자기장 효과를 가지 있는 유사한 현상인 비정형 홀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외부 자기장이 없는 상태에서도 관측되기도 한다. 이러한 효과는 반-강자성체에서는 일반적으로 예측되지 않으며, 제로-필드 상태에서는 네트 자기장을 가지고 있지 않다. Satoru Nakatsuji 등은 비정형 홀 효과의 정확한 기원에 대해서 확인하기 위해서 반관념적인 효과가 복잡한 자기장 통해서 Mn3Sn 으로 구성된 반-강자성 재료에서 이를 관측하는데 성공하였다. 이러한 효과는 강자성 재료에 비교하여 매우 크지만, 스핀트로닉스 응용 분야에 유용할 것으로 보이는 특성의 조합으로 된 작은 적용 분야로 쉽게 전환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2015년11월12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냉동 전자 현미경을 이용한 Slo2.2 Na+-활성 K+ 채널 구조 분석
CRISPR-Cas9을 이용한 글로빈 유전자 발현 변이 치료
공포와 불안감을 조절하는데 관여하는 선조 편도체
인간 흑색종 세포의 원거리 전이를 억제하는 산화적 스트레스
사족 동물 다리 발달에서 전축 극성 및 재생에 대한 진화 과정 분석
젖산에 의해서 활성화된 후각 수용체를 통한 산소 호흡량 조절
상온에서 구현한 대규모 비정형 홀 효과
맨틀 대류 기둥에 의해서 유도된 섭입대
표지 기사: 초기 신석기 시대부터 길들여지기 시작한 꿀벌
낮은 질량의 항성 주위를 근거리에서 공전하고 있는 암석형 행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