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공포와 불안감을 조절하는데 관여하는 선조 편도체
Nature 527, 7577
뇌 편도체에 의한 공포와 불안감 조절은 내측 전전두엽 피질(medial prefrontal cortex, mPFC)에 의한 탑-다운 조절을 받게 되지만, 이러한 프로세스에서 정확히 어떤 mPFC 서브 영역이 이러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었다. Karl Deisseroth와 공동연구원들은 삽입된 세포보다는 기저내측 편도체가 복측 내측 전전두엽 피질의 주요 타깃이라는 사실을 생쥐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복측 내측 전전두엽 피질-기저내측 편도체 경로의 활성화가 불안 및 공포에 의한 꼼짝 못하는 상태를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서 기저내측 편도체가 탑-다운 조절의 새로운 타깃이 될 것으로 보인다.
2015년11월12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냉동 전자 현미경을 이용한 Slo2.2 Na+-활성 K+ 채널 구조 분석
CRISPR-Cas9을 이용한 글로빈 유전자 발현 변이 치료
공포와 불안감을 조절하는데 관여하는 선조 편도체
인간 흑색종 세포의 원거리 전이를 억제하는 산화적 스트레스
사족 동물 다리 발달에서 전축 극성 및 재생에 대한 진화 과정 분석
젖산에 의해서 활성화된 후각 수용체를 통한 산소 호흡량 조절
상온에서 구현한 대규모 비정형 홀 효과
맨틀 대류 기둥에 의해서 유도된 섭입대
표지 기사: 초기 신석기 시대부터 길들여지기 시작한 꿀벌
낮은 질량의 항성 주위를 근거리에서 공전하고 있는 암석형 행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