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세포 주변 미세 환경에 반응하여 세포막 지질 성분 변화를 유도하는 FAK 신호 전달 경로

Nature 523, 7558

세포들은 주변 환경과 그 속에 있는 다른 세포들을 인식하고 있으며, 패턴 형성과 같은 표현형 적응을 통해서 반응한다. 지금까지의 많은 연구들을 통해서 영향을 받은 세포에 의해서 생성된 외부 신호나 주변 환경의 구성 요소들을 이용하게 된다. Lucas Pelkmans과 공동연구원들은 하나의 포유류 세포가 주변의 미세 환경에 반응하면서 변화하는 분자 단위 메커니즘을 연구하였다. 저자들은 세포가 국소적인 혼잡함을 확산하는 능력을 통해서 인지하고, FAK(focal adhesion kinase)라는 효소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소적인 혼잡함을 경험하지 않은 세포의 경우, FAK가 세포막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사 인자를 황성화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중에서 FAK가 ABC 전송체 A1의 발현을 억제한다. 유전자 발현의 변화는 세포막 지질 구성 성분에 영향을 주며, ABCA1 발현억제를 포함하여 신호전달을 억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