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발달 장애와 관련된 새로운 유전자 돌연변이 확인
Nature 519, 7542
최근까지 단일 유전자 이상 질환을 유발하는 유전적 원인에 대한 발견은 표현형에 의한 질환들이 대부분이었다. 유전적 원인에 의해서 심각한 발달 장애를 가지고 있는 유아의 절반 정도가 유전적인 진단 방법이 없는 질환을 앓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주 네이처에 발표된 연구 논문에서는 영국 전체에서 심각한 발달 장애를 앓고 있으면서 정확한 진단이 어려웠던 1,133명의 유아에 대한 발달 장애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들에 대한 엑솜 염기서열 분석과 어레이 기반의 염색체 재조합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현재까지 밝혀져 있지 않았던 12가지 유전자 이상이 확인되었으며, 이들에 의해서 진단될 수 있는 유아들이 10% 더 증가할 수 있게 되었다.
2015년3월12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표지 기사: 완신세에서 인류세로의 전환에 대한 지질학적 기록
CRISPR-Cas 적응 동안 얻어진 바이러스 타깃에 대한 Cas9 특이적 활성
고해상도 개통 추적 기술을 이용한 진화 다이나믹스 정량 분석
가짜 알러지 약물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비만 세포 수용체 확인
초파리에서 집단적인 행동을 유도하는 기계 감각적 상호작용
생쥐 뇌간의 위둔덕에 있는 방향 감각 세포의 기능적 구조
발달 장애와 관련된 새로운 유전자 돌연변이 확인
대기 온도 상승에 의한 북아메리카 경수 호수로부터의 이산화탄소 방출 감소
초저온 원자를 포함하는 허브바드 모델에서 반-강자성 연관성 관측
엔켈라투스 상에서 현재도 진행되고 있는 열수 활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