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구조적 유연성과 신경 퇴행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냉각 유도 단백질 RBM3

Nature 518, 7538

시냅스 접촉은 동면하는 포유 동물에서 소실되었지만, 온도가 상승하면 다시 형성되게 된다. RBM3은 냉각에 반응하여 뇌에서 생성되는 저온 쇼크 단백질이지만, 시냅스 유연성과 관련되어 있다. Giovanna Mallucci와 공동연구원들은 신경퇴행성 질환 생쥐 모델에서 시냅스 재생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것이 RMB3의 유도 결핍과 관련되어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RBM3의 과잉 발현은 기능 소실에 의한 지속적인 손상이 일어나는 과정에서 시냅스를 다시 형성시켰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서 냉각 반응 단백질이 내생적인 재생 프로세스의 한 구성 요소이며, 신경 퇴행성 질환에서 신경 보호의 잠재적인 치료 타깃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