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해마에 의해서 조절되는 과거 기억현상

Nature 431, 7005

우리가 낯익은 사람을 만나더라도 그 사람이 누군지 또는 어떻게 알게 됐는지를 알 수 없는 상황을 경험하기도 한다. 최근 인지 연구와 신경 생물학적인 연구를 통해서 친밀감과 기억은 서로 독립적이며, 다른 부위의 해마에 의해서 이루어지지만 인간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는 확고한 증거를 얻지 못했었다. 실험쥐를 이용한 냄새 기억 실험에서 Fortin 등은 이러한 프로세스를 구분하는데 대한 확고한 증거가 얻어졌다. 연구원들은 또한 해마가 회상에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친밀감과는 관계가 없다는 사실도 발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