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표지 기사: 세포 막 내에 존재하는 단백질과 지질 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세포막 단백질 구조 안정화
Nature 510, 7503
최근 고해상도 세포막 단백질 구조를 밝힌 다수의 결과들은 단백질과 밀접하게 연관된 지질들이 어떻게 세포막의 복잡한 구조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 Carol Robinson과 공동연구원들은 새로운 IM-MS (Ion Mobility Mass Spectrometry)를 이용하여 지질에 결합되어 있는 접혀진 상태의 단백질 구조에 대한 고해상도 스펙트럼을 얻는데 성공하였다. 저자들은 이러한 실험 방법을 통해서 지질이 MscL (mechanosensitive channel of large conductance), 아쿠아포린 Z, 그리고 암모니아 채널의 안정성을 변화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저자들은 또한 이러한 지질 중에 하나인 포스파티딜글리세롤(phosphatidylglycerol)이 암모니아 채널에 결합되어 있는 X-선 결정 구조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서 구조적인 변화가 포스파티딜글리세롤 결합 부위를 형성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얻어진 중요한 결론은 개별적인 지질 결합 현상이 멤브레인 복합체의 안정성에 변화를 줄 수 있다는 사실이었다. 표지 사진: IM-MS에서 얻어진 이온 이동 세포로부터 나타난 멤브레인 결합 단백질 복합체 이미지.
2014년6월5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사람 포도당 전달체 GLUT1의 결정 구조 분석
빗 해파리의 지놈 및 프로테옴 분석 결과
고해상도 구조 분석법을 이용한 정밀 단백질 나노 구조체 제작
섬모의 생성 이상에 의한 호흡기계 질환을 유발하는 miR-34/449 miRNA 발현 이상
후각뇌피질과 해마 간의 활성 상태 조절을 통한 학습/회고 기능 조절
작물 내 아연 및 철과 같은 영양분 감소를 초래하는 전세계 이산화탄소 증가
IL-23에 의한 건선 유사 염증 반응을 유발하는 통증 관련 신경 및 피부 내 수지상 세포 상호작용
장내 점막 세균 집락의 항원과 직접적인 결합을 통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TH17세포
파킨 단백질 활성화를 위한 PINK1 단백질에 의한 유비쿼틴 인산화
표지 기사: 세포 막 내에 존재하는 단백질과 지질 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세포막 단백질 구조 안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