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후각뇌피질과 해마 간의 활성 상태 조절을 통한 학습/회고 기능 조절
Nature 510, 7503
회고와 같은 단정적인 메모리 형성이 되는 동안에는 해마와 대뇌 피질 간의 정보 교환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학습/회고의 역할과 정보 교환 간의 특성에 대해서는 정확히 밝혀진 바가 없었다. Edvard Moser와 공동연구원들은 해마와 후각뇌피질에서 오는 신호를 동시에 기록함으로써, 이들 두 기관의 기억 조절과 관련된 네비게이션 기능을 조사하였다. 레트가 냄새 가이드 신호를 학습하는 동안, 두 부위에서 동시에 신호를 보내는 신경 세포들의 조합이 나타나게 되며, 감마 진동을 통한 피질-해마 결합이 일어난다. 이러한 현상은 흩어져 있는 신경 회로에서 진화를 유지하는데 있어서 감마 동기화를 이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2014년6월5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사람 포도당 전달체 GLUT1의 결정 구조 분석
빗 해파리의 지놈 및 프로테옴 분석 결과
고해상도 구조 분석법을 이용한 정밀 단백질 나노 구조체 제작
섬모의 생성 이상에 의한 호흡기계 질환을 유발하는 miR-34/449 miRNA 발현 이상
후각뇌피질과 해마 간의 활성 상태 조절을 통한 학습/회고 기능 조절
작물 내 아연 및 철과 같은 영양분 감소를 초래하는 전세계 이산화탄소 증가
IL-23에 의한 건선 유사 염증 반응을 유발하는 통증 관련 신경 및 피부 내 수지상 세포 상호작용
장내 점막 세균 집락의 항원과 직접적인 결합을 통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TH17세포
파킨 단백질 활성화를 위한 PINK1 단백질에 의한 유비쿼틴 인산화
표지 기사: 세포 막 내에 존재하는 단백질과 지질 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세포막 단백질 구조 안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