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MEGF10과 MERTK 대사 경로를 통한 시냅스 제거에 관여하는 성상 세포
Nature 504, 7480
시냅스 제거는 뇌 발달에서 매우 중요한 과정으로써, 이 과정에서 다양한 시냅스 결합이 활성 정도에 따라서 감소하게 된다. 뇌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비 신경세포인 신경교세포는 시냅스 리모델링의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으며, 식세포 작용을 하는 미세아교세포는 연결성 재구성에 일부 기능을 수행하고 있지만, 이와 관련된 Won-Suk Chung 등은 성상세포에 의한 시냅스 섭식과 이를 통한 활성에 의존한 방식으로의 시냅스 제거 메커니즘을 상세히 보고하였다. 이와 같은 제거 프로세스는 MEGF10과 MERTK 식세포 작용 경로가 관여하고 있으며, 이러한 대사경로가 없는 동물의 경우 발달 과정에서 시신경 퇴행 연결 재구성이 안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다 자란 성체가 될 때까지 지속되었다.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서 학습 및 메모리뿐만 아니라 신경학적 질환 발달에 대해 좀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Article, 394쪽]
2013년12월19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표지 기사: 2013년 올해의 사진
대규모 파마코지노믹스 연구들 간의 불일치성
MEGF10과 MERTK 대사 경로를 통한 시냅스 제거에 관여하는 성상 세포
벼에서 발견된 스트리고락톤 신호전달을 억제하는 DWARF53
태어난 직후 2-6개월 기간 동안 발현되는 자폐성 눈 맞춤 감소 현상
T 세포 발달 단계에서 양성 및 음성 선택성의 한계점 조절에 관여하는 테미스
X 염색체 불활성화와 관련된 2단계 시스템에 대한 고 해상도 Xist 결합 맵핑
장내 공생 세균이 분비한 낙산염에 의해서 유도된 조절 T 세포에 의한 면역력 증대
심근 경색 위험을 증가시키는 산화 질소 신호전달체계에서의 기능 이상
글루코키나아제 조절 단백질 억제를 통한 항 당뇨 효과
밴 앨런 복사대에서 상대적인 전자의 지역적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