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심근 경색 위험을 증가시키는 산화 질소 신호전달체계에서의 기능 이상
Nature 504, 7480
다중 영향을 받는 개인이 속한 가계에 대한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서 매우 드물거나 개인적인(단일 가계 또는 제한된 그룹) 돌연변이를 확인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저자들은 심장 질환 발병률이 높은 가계에서 기능적으로 연관된 두 유전자인 GUCY1A3과 CCT7로부터 2개의 개별적인 이형접합 돌연변이를 확인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 두 유전자에서 생성된 단백질은 혈관 확장 유도 및 산화 질소 자극에 따른 혈소판 활성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심각하게 영향을 받은 가계에서는 약화된 산화 질소 신호전달과 심근 경색 발병 위험성 간의 연결 관계를 밝힐 수 있었으며, 이는 혈전 형성과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신호전달 손상을 역전시키는 것은 심근 경색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새로운 치료법 개발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보인다. [Letter, 432쪽]
2013년12월19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표지 기사: 2013년 올해의 사진
대규모 파마코지노믹스 연구들 간의 불일치성
MEGF10과 MERTK 대사 경로를 통한 시냅스 제거에 관여하는 성상 세포
벼에서 발견된 스트리고락톤 신호전달을 억제하는 DWARF53
태어난 직후 2-6개월 기간 동안 발현되는 자폐성 눈 맞춤 감소 현상
T 세포 발달 단계에서 양성 및 음성 선택성의 한계점 조절에 관여하는 테미스
X 염색체 불활성화와 관련된 2단계 시스템에 대한 고 해상도 Xist 결합 맵핑
장내 공생 세균이 분비한 낙산염에 의해서 유도된 조절 T 세포에 의한 면역력 증대
심근 경색 위험을 증가시키는 산화 질소 신호전달체계에서의 기능 이상
글루코키나아제 조절 단백질 억제를 통한 항 당뇨 효과
밴 앨런 복사대에서 상대적인 전자의 지역적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