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ATM 신호전달에 대한 염색체 센싱을 결합시킨 KAT5 티로신 인산화
Nature 498, 7452
DNA의 이중 가닥이 끊어지게 되면, ATM(Ataxia telangiectasia mutated) 인산화 효소라고 알려져 있는 단백질이 활성화된다. 아세틸전이효소 KAT5가 변형된 히스톤 마크 H3K9me3에 결합하게 되면, 인산화 효소를 아세틸화함으로써 ATM을 활성화시키게 된다. 이번 주 네이처에 게재된 논문에서 Abderrahmane Kaidi와 Stephen Jackson은 DNA 손상이 생기면 c-Abl 인산화효소가 KAT5의 44번째 티로신을 인산화시키며, H3K9me3와의 상호작용을 강화시키며, DNA 손상 체크포인트를 위한 ATM에 의한 신호전달을 개시하게 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치료제로 개발된 라이신 탈아세틸화 효소 억제제의 작용 메커니즘을 설명할 수 있으며, 이러한 종류의 약물들이 암과 신경퇴행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로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13년6월6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표지 기사: 원자구조 연구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대륙빙 질량 균형과 기후 변화
포식자를 경계하기 위해서 두 눈 위쪽에 대한 관찰을 계속 수행하는 설치류
초기 직비원아목 진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가장 오래된 유인원 골격 화석 발견
ATM 신호전달에 대한 염색체 센싱을 결합시킨 KAT5 티로신 인산화
식충 식물인 통발류 Utricularia gibba의 지놈 분석 결과
집락 단위에서 먹이 수집 행동을 조절하는 붉은 수확 개미
플라즈몬 강화 라만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단일 분자 분석
항암 유전자에 의해 유발되는 노화 과정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미토콘드리아 내 게이트키퍼인 PDH
슈도갭과 위상 전이 라인의 결합
조류와 인간 영아에서 확인되는 언어 능력과 관련된 순차적 습득 과정
정상인과 당뇨병 환자인 유럽 여성을 대상으로 한 장내 세균 메타지놈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