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대기 중 제한적으로 존재하는 천왕성 및 해왕성 제트 스트림
Nature 497, 7449
지난 수십 년 동안 거대한 행성의 대기 순환과 기후 변화는 많은 논란의 대상이 되어 왔다. Yohai Kaspi 등은 보이저 2호와 허블 우주 망원경 관측을 기반으로 천왕성과 해왕성의 풍속에 대한 측정과 함께 중력장 데이터 및 대기 모델링을 결합하여 분석함으로써 1,000킬로미터 깊이 이하의 ‘날씨층’에 한정되어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서 이러한 바람을 조절하는 다이나믹스가 깊은 대기 순환보다는 얕은 대기 프로세스에 의해서 유발된 것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연구에 사용된 방법은 저위도에서 비행하고 있는 주노 및 카시니 궤도 공전 위성을 통해 얻어진 목성과 토성의 상세 중력장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2013년5월16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표지 기사: 완전한 생물학적 시스템의 구조 및 분자 의문 사항 해소
유전자를 이용한 계통 분류학적 연결 고리 분석
항암제 타깃이 되는SMO 수용체의 X-선 결정 구조 분석
전기적으로 만들어진 폴라리톤 레이저
손상 이후 Notch 조절인자인 Thbs4에 의해서 조절되는 성상 세포 생성 메커니즘
저산소증을 통한 AGO2 인산화에 반응하는 miRNA를 조절하는 EGFR
유방암에서의 마이크로 RNA 기능 분석
대기 중 제한적으로 존재하는 천왕성 및 해왕성 제트 스트림
용융 옥사이드 전기 분해에 적용하기 위한 크롬 기반의 새로운 알루미늄 합금 전극
발달에 따른 유전형-표현형 지도 하에서의 적응 다이나믹스
해양 온난화가 전세계 어획량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