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원시 행성 갭을 통한 성간 가스의 흐름 분석

Nature 493, 7431

최신 가설에 따르면, 거대 행성의 형성은 원시 별 주변에 있는 가스와 먼지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고리 모양의 공동을 형성하기 위해서 대부분의 먼지와 가스를 밀어낸다. 하지만, 이러한 차이는 충분한 가스가 바깥쪽 디스크로부터 공급되지 않으면, 별의 질량이 더 이상 커질 수 없게 된다. 이번 주 네이처에 발표된 논문에서 아타카마 거대 밀리미터/서브 밀리미터 어레이 관측 장비를 통해서 HD142527 주변의 디스크를 관측한 결과, 갭 내부에서의 CO 확산과 갭-횡단 필라맨트를 따라 고밀도의 HCO+가스가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서 갭을 가로지르는 가스 흐름은 현재 속도에서 별을 형성하는데 충분한 것으로 밝혀졌다. [Letter, 19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