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태아 항원에 대한 비면역성을 유지하기 위한 모체 면역계 조절 메커니즘
Nature 490, 7418
임신 성공은 모체의 면역계에 의해서 ‘비-자기(non-self)’로 인식되는 아버지 유래의 태아 항원에 대한 억제 메커니즘이 잘 발달하느냐에 달려있다. Jared Rowe 등은 이러한 내성이 태아 항원에 대한 특이성을 가지는 조절 T 세포의 생성에 의해서 완성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태아에 특이적인 조절 T 세포는 두 번째 임신 동안 빠르게 생성되며, 두 번째 임신 기간 동안에는 전자간증 및 부모 특이적인 합병증 유발 가능성을 줄여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Letter, 102쪽].
2012년10월4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유방암 세포에 대한 다중 분석 연구
굴 지놈 분석을 통해 밝혀진 껍질 형성 및 유생 발달 관련 유전자
제 2형 당뇨병 발병과 연관된 장내 미생물에 대한 메타-지놈 연구
실루리아기 무판류 유형 및 연체 동물문 계통 분류학
염증조절결합체에 의한 신속한 염증성 지질 생성
남극 지역에서 지난 30만년에 걸친 황산염 기후 변화 연관성 기록
표지 기사: 식물의 배아 발달 과정에서 발현되는 유전자 분석
piRNA 생성 대립유전자의 발현과 관련된 모의 돌연변이 현상
태아 항원에 대한 비면역성을 유지하기 위한 모체 면역계 조절 메커니즘
베타 픽토리스에서 발견된 태양계 외부 원시 쿠이퍼 벨트의 감람석 결정 함량
구상 성단 M22에서 발견된 2개의 블랙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