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AMPK 관련 대사 경로를 통한 세포 자살 메커니즘
Nature 488, 7410
프로그램화된 세포 자살은 정상적인 발달에서 중요한 일부분이며, 손상되고 과잉 상태에 있거나 감염된 세포를 제거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세포 자살의 대부분은 카스파아제(caspase)로 알려져 있는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카스파아제 비 의존성 세포 자살이 있긴 하지만, 관련된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잘 밝혀져 있지 않았다. Robert Horvitz와 공동연구원들은 Caenorhabditis elegans를 이용하여 발달 과정에서 세포가 카스파아제 비 의존성 방식에 의해서 어떻게 자살하는지에 대해서 밝혔다. 이러한 세포들은 AMPK 관련 키나아제 대사 경로가 이러한 메커니즘에 의한 아폽토시스에 관여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Letter, 226쪽].
2012년8월9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홀짝성 시간 대칭성 광학 격자
배고픔에 대한 조절에 관여하는 시상하부 AGRP 뉴런
노인 장내 미생물총 조성과 건강과의 상관 관계
미래 행동적 적응에 관여하는 dACC 뉴런
AMPK 관련 대사 경로를 통한 세포 자살 메커니즘
대기 중 존재하는 산화제로 새롭게 밝혀진 이산화 황
나노와이어 채널을 이용한 고성능 수직 트랜지스터
표지 기사: 초기 Homo 종 다양성을 보여주는 화석 발견
병원균에 대한 방어와 점막 차단막을 형성하는 HVEM 신호 전달 경로
프리-스페이스 채널을 이용한 양자 전송 및 얽힘 분포
바나나 지놈 염기서열 분석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