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다중 불안정성 케스케이드로부터 유래한 자기 재연결

Nature 482, 7385

자기 재연결(Magnetic reconnection)은 배경과 자기장 라인의 재연결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물리학에서 에너지를 방출하는 현상이다. 비록 지역적인 자기장 라인의 확산이 이 프로세스의 일부이지만, 관측된 재연결 비율은 전형적인 전자 저항성을 이용하는 것보다는 훨씬 빠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빠른 재연결에 의한 자기장의 확산은 비자기-수리학적 프로세스(non-magnetohydrodynamic process)의 조합으로부터 나오게 된다. 비자기-수리학적 프로세스는 이온 라모아 반경(Larmor radius) 또는 이온 스킨 깊이(ion skin depth)의 현미경 스케일에서 중요하게 되었다. Auna Moser와 Paul Bellan은 실험실 연구를 통해서 원거리의 현미경 스케일 자기-수리학적 불안정성이 빠른 자기적 재연결과 결합된 현미경-스케일 불안정성이 결합되어 나타나는 불안정성의 케스케이드에 의한 메커니즘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메커니즘의 필수적인 요소는 자연계에서 따로 관찰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