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유전적 상호작용과 유전자 돌연변이 예측
Nature 480, 7376
유전적인 검사의 한계는 클리닉과 랩검사를 통해 충분히 확인되어 왔다. 개별적인 표현형을 예측할 수 있다는 가설을 바탕으로 Ben Lehner와 공동연구원들은 발달 중에 있는 동물에서 돌연변이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비침습적이면서도 형광을 기반으로 한 방법을 이용하여 Caenorhabditis elegans에서 유전자 발현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으며, 개별적인 배아에서의 분자 노이즈를 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저자들은 조절적인 보상 메커니즘을 발견하였는데, 하나는 밀접하게 관련된 유전자들에서, 다른 하나는 샤페론과 같은 조절 인자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보상의 강도는 개별적인 개체에서의 다자란 성체 표현형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11년12월8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혈소판 형성에 관여하는 새로운 유전자 발견
표피 줄기세포 조절에 관여하는 일주기성 시계
새롭게 발견된 두 개의 거대 블랙홀
연속 변수 얽힘 트윈 원자 상태의 원자 호모다인 검출
광학레독스 촉매로 이용되는 CF3결합 방향족 탄화수소
홍적세 탈 빙하기를 가져온 공전 기울기와 세차운동
마찰력 노화에 의한 접촉면 화학적 결합
표지 기사: 캄브리아기 포식자 Anomalocaris의 겹눈 구조
인간 마이크로바이옴을 연결하는 유전자 수평 이동
유전자의 후생학적 특성과 표현형 변화 관여
유전적 상호작용과 유전자 돌연변이 예측
나노포토닉스 장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포토닉스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