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커버스토리: 언어의 진화적 다이나믹

Nature 449, 7163

언어가 진화하면서 문법이 나타났으며, 예외적인 사항들은 사라졌다. Leberman 등은 지난 1200년에 걸쳐 사용된 영어 관용어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언어가 보다 규칙적으로 성장한 비율을 측정하였다. 160개의 불규칙적인 동사 중에 70개는 지난 1000년 동안 규칙적으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트랜드는 동사의 반감기가 사용빈도의 제곱근에 비례한다는 단순한 규칙을 따랐다. 불규칙적인 동사는 100배 덜 규칙적으로 되었으며, 10배 더 빨리 사라졌다. 단어에 규칙(예를 들어 과거형에 –ed가 붙는 것)이 나타나면, 예외적인 형태는 사라지게 된다. 표지 사진 : 관용어 빈도에 대한 동사의 크기를 보여주고 있으며, 따라서 큰 동사는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반면 뒤에 불규칙 동사가 위치하는 ‘wed’는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다. 또 다른 연구에서 Pagel 등은 단어의 뜻이 어떻게 진화하는지를 연구하였다. 인도-유럽어에 걸쳐서, ‘꼬리(tail)’ 또는 ‘새(bird)’라는 단어는 신속히 진화하였으며, 많은 불규칙 단어들과 표현되었다. 숫자 ‘둘(two)’과 같은 단어는 전체 언어군에 걸쳐서 밀접하게 연관된 단어들과 같이 표현되었다. 80여 개의 현대 언어들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를 통해서 단어가 많이 사용될수록 변화는 적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