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성간 가스에서의 소용돌이 현상 관측

Nature 478, 7368

소용돌이는 기상학(meteorology)에서부터 심장학(Cardiology)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된 현상이지만, 그 크기가 엄청나게 큰 우주물리학적인 소용돌이의 경우, 현재 이론의 한계점까지 확대되게 된다. 지금까지, 성간 소용돌이의 경우, 소용돌이 움직임과 연관되어 있는 작은 규모의 구조를 볼 수 없었기 때문에, 관찰에 한계가 있었다. 이번 주 네이처에 발표된 논문에서는 성간 가스 내의 소용돌이에 대한 이미지를 직접 관찰하는데 성공한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Gaensler 등은 호주 텔레스코프 컴팩트 어레이(Australia Telescope Compact Array)를 이용하여, 은하계 평면의 전파-연속 이미지(radio-continuum image)를 통한 소용돌이 관측에 성공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저자들은 스토케 백터(stokes vector)의 기울기가 확산된 이온 가스의 자화된 소용돌이 이미지를 보여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자화된 소용돌이는 가스 밀도 내에서 불연속적인 복잡한 필라멘트 그물로 이루어져 있다. 온도가 따뜻한 이온화된 메질에서의 소용돌이는 비교적 낮은 초음파 매칭을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