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카스파제 신호전달에 의한 소교세포 활성화 및 신경 독성 조절
Nature 472, 7343
뇌의 염증 반응은 신경 퇴행성 질환 및 급성 뇌 손상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특징이다. 소교세포(Microglia)는 신경 독성 사이토카인을 분비함으로써, 이러한 질환의 병인을 제공하는데 부분적으로 관여할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염증 반응에 대한 세포 및 동물 모델 실험을 통해서, 소교세포 활성을 위해서는 세포 사멸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카스파제-8(caspase-8)과 카스파제-3/7(caspase-3/7)의 순차적인 활성화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카스파제 순차적인 활성을 억제할 경우, 소교세포의 활성화를 방지하며, 신경 독성으로부터의 보호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카스파제 활성화는 파킨슨 질환 및 알츠하이머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의 뇌에 존재하는 소교세포에서도 나타나기 때문에, 카스파제 억제제가 잠재적인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2011년4월21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광학 격자에서 반-강자성 스핀의 양자 시뮬레이션
먹이 사냥에 대한 반응을 결정하는 카테콜아민 수용체 다형성
카스파제 신호전달에 의한 소교세포 활성화 및 신경 독성 조절
핵 인자 kB 억제제(IKK)의 결정 구조 분석
광학적인 빛 조사를 통해서 자체 수선되는 초분자 폴리머
화성에서의 맨틀 열역학적 대류를 보여주는 암석 샘플
종 다양성 유지에 기여하는 이질적 및 동질적 유전 환경
초기 태아 뇌 피질 발달에 관여하는 세로토닌의 공급원
신경 활성을 위해서 필요한 특정 간신경원 세포의 발달
신경 세포의 이동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릴린 분비
진수류에서 확인된 다양한 방식의 X 염색체 불활성화 조절
엔켈라투스 오로라가 반영된 토성에서의 자외선 분광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