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메타로돕신 II의 결정 구조 분석
Nature 471, 7340
지금까지 G 단백질 결합 수용체의 일종인 로돕신(rhodopsin)의 활성화된 상태에 대한 구조적인 연구는 망막 투과성 작용제(trans retinal agonist)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아포단백질 또는 옵신에 제한되어 있었다. 이번 주 네이처에서 서로 다른 두 연구 그룹이 로돕신 활성화와 연관되어 있는 형태 변화에 대한 정교한 데이터를 제시하였다. Choe 등은 광학 수용체인 로돕신의 중간체인 메타로돕신 II 의 X-선 회절 결정 구조를 밝힌 연구 결과를, Standfuss 등은 G 단백질인 트랜스듀신(Transducin)의 C-말단으로부터 유래한 팹타이드와 결합된 형태의 로돕신 돌연변이의 활성화 상태에 대한 구조를 밝힌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2011년3월31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염증 반응 억제 및 면역 조절에 관여하는 일직선 유비쿼틴화
체내 니코틴 레벨 조절에 관여하는 nAChR 수용체
CRISPR RNA 프로세싱에 관여하는 RNA 단편 및 RNase III
케플러 미션을 통해 밝혀진 적색 거성의 겉껍질과 핵 연소 방식
양자 스핀 유체의 자기적 및 비-자기적 위상
그래핀의 비탄성 빛 산란 양자 경로 조절
해양 온난류에 의해 유발되는 대륙 동부 지역의 추운 겨울
표지 기사: 중국 이시안 단층에서 발견된 현화식물 초기 단계 화석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CD8+ T세포 활성화
홀리데이 접합 부위가 손상된 세포의 염색체 구조적 불안정성
피로라이신 생합성 경로
메타로돕신 II의 결정 구조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