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CD8+ T세포 활성화
Nature 471, 7340
비활성 상태의 CD8+ T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새로운 메커니즘이 2005년에 밝혀졌었다. “크로스-드레싱(Cross-dressing)”으로 명명된 이 메커니즘은 기존에 알려져 있던 크로스-프라이밍(Cross-priming)과 다이렉트 프라이밍 메커니즘(direct-priming mechanism)에 의해서 인식된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감염된 세포로부터 MHC/펩타이드 분자를 수지상 세포로 이동시키는 역할에 관여하고 있다. Linda Wakim과 Michael Bevan은 바이러스 감염 시에 활성화되는 기억 T 세포의 활성화가 크로스-드레싱의 일부분으로 일어난다는 사실을 밝혔다. 바이러스 감염 동안 기억 T 세포에 항원을 제시하는 또 다른 모드로써, 크로스-드레싱은 수지상 세포가 항원을 처리할 필요가 없도록 하며, 감염된 세포에서 발현된 펩타이드 항원과 가장 밀접한 형태의 펩타이드 항원 결정기를 제시하도록 하고 있다.
2011년3월31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염증 반응 억제 및 면역 조절에 관여하는 일직선 유비쿼틴화
체내 니코틴 레벨 조절에 관여하는 nAChR 수용체
CRISPR RNA 프로세싱에 관여하는 RNA 단편 및 RNase III
케플러 미션을 통해 밝혀진 적색 거성의 겉껍질과 핵 연소 방식
양자 스핀 유체의 자기적 및 비-자기적 위상
그래핀의 비탄성 빛 산란 양자 경로 조절
해양 온난류에 의해 유발되는 대륙 동부 지역의 추운 겨울
표지 기사: 중국 이시안 단층에서 발견된 현화식물 초기 단계 화석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CD8+ T세포 활성화
홀리데이 접합 부위가 손상된 세포의 염색체 구조적 불안정성
피로라이신 생합성 경로
메타로돕신 II의 결정 구조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