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폐암에 대한 생쥐 모델에서 NF-kB 신호전달 경로의 역할
Nature 462, 7269
RAS 계열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인간 암세포의 20% 정도에서 확인되며, 이 때문에 RAS 단백질은 암 치료의 잠재적인 타깃이 되고 있다. RAS 단백질에 대한 직접적인 타깃화는 지금까지 별다른 결과를 내지 못했었지만, 이번 주 네이처에 발표된 두 편의 연구 논문에서는 RAS 신호전달 경로의 아래 단계에서 다른 타깃을 찾은 결과가 발표되었다. 합성된 치명적인 RNAi를 이용한 스크리닝을 통해서 Barbie 등은 TBK1이 NF-kB 신호전달 경로에 관여하는 인산화 효소이며, 이 효소가 KRAS 변형 세포의 생존에 필수적인 요소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TBK1은 아폽토시스를 방지하는 신호를 유도하며, 치료를 위한 항암 타깃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Kras 돌연변이와 p53 기능 상실에 의해서 유발된 폐암 세포를 가진 생쥐 모델에서 Meylan 등은 NF-kB 신호전달이 두 가지 변화, 종양의 개시 및 유지에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2009년11월5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표지 기사: 벳-헤징 전략에 대한 실험적인 증명
자가면역성 CNS 병변에서 T 세포의 역할
핵산에 의한 선천성 면역 반응에서 HMGB 단백질의 기능
폐암에 대한 생쥐 모델에서 NF-kB 신호전달 경로의 역할
카시오페아 A 중심부 중성자 별의 탄소 성분 대기 관측
광학 격자 내에 있는 단일 원자에 대한 양자 가스 현미경 측정
광기계적인 결정
유리의 단단한 성질에 대한 근원이 되는 소프트 콜로이드
장기적인 일련의 여진에 대한 분석을 통한 지진 위험성 예측
아미노산 변형을 통한 쿠프레독신의 환원 전위 강화
관련성 없는 두 동물 집단 간의 상호 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