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자가면역성 CNS 병변에서 T 세포의 역할
Nature 462, 7269
다발성 경화증 모델을 위한 실험적 자가 면역성 뇌척수염이 유발된 쥐에 대한 2광자 형광 현미경(two-photon fluorescence microscopy)을 이용한 연구를 통해서 자가 면역 질환을 유발하는 혈액 T 세포가 처음으로 결합하며, 뇌 척수 맥관 구조의 내부 표면에 대한 스캐닝을 하게 되며, 어떤 때에는 혈액 흐름의 방향으로 천천히 움직이기도 한다. 일단 혈액-뇌 장벽을 넘으면, T 세포는 항원을 제시하는 식세포의 분화 및 조직 침투 능력을 자극하게 된다. T 세포와 관련된 이러한 상호작용에 관여하는 구조는 뇌에서의 자가 면역 질환에 대한 치료법 개발의 잠재적인 타깃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2009년11월5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표지 기사: 벳-헤징 전략에 대한 실험적인 증명
자가면역성 CNS 병변에서 T 세포의 역할
핵산에 의한 선천성 면역 반응에서 HMGB 단백질의 기능
폐암에 대한 생쥐 모델에서 NF-kB 신호전달 경로의 역할
카시오페아 A 중심부 중성자 별의 탄소 성분 대기 관측
광학 격자 내에 있는 단일 원자에 대한 양자 가스 현미경 측정
광기계적인 결정
유리의 단단한 성질에 대한 근원이 되는 소프트 콜로이드
장기적인 일련의 여진에 대한 분석을 통한 지진 위험성 예측
아미노산 변형을 통한 쿠프레독신의 환원 전위 강화
관련성 없는 두 동물 집단 간의 상호 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