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성 및 종간 구분에 관여하는 초파리 페로몬 분석
Nature 461, 7266
종 간 및 종 내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은 화학적 커뮤니케이션에 의존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와 관련된 암호들은 복잡한 페로몬 혼합물 속에 가려져 있었다. Billeter 등은 초파리인 Drosophila melanogaster의 표피에서 탄화수소 페로몬을 생산하는 세포를 유전적으로 조작함으로써 화학적 커뮤니케이션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블랭크 상태’를 만들었다. 놀랍게도, 에노사이트가 없는 초파리 수컷 또는 암컷은 성적으로 수컷 파리에게 과도한 호감을 보였으며, 다른 종에서 유래한 수컷에게도 마찬가지였다. 이러한 돌연변이들에게 각각 합성된 화학물질을 향수처럼 묻히게 되면, 정상적인 사회적, 종간 경계가 다시 형성되었다.
2009년10월15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해마에 존재하는 위치 세포에서의 세포 내 다이나믹
표지 기사: 신피질 신경 전구세포의 비대칭적 중심체 전달
스핀 아이스에서 자기적 단극의 전하 및 전류 측정
자가 조립 나노 입자 초격자 생성을 통한 준결정
스트레커 반응을 이용한 알파 아미노산 합성
그린란드 및 남극 대륙빙 가장자리에서의 다이나믹컬 씨닝 관측
해양 고세균에 의한 호기성 암모니아 산화
속임수에 저항성을 가진 돌연변이 Dictyostelium
언어 학습에 관여하는 뇌영역에 대한 해부학적 영상 분석
성 및 종간 구분에 관여하는 초파리 페로몬 분석
빛에 의해서 조절되는 단백질을 이용한 세포 신호 조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