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언어 학습에 관여하는 뇌영역에 대한 해부학적 영상 분석
Nature 461, 7266
우리가 학습을 위해 읽고 쓰는 동안 뇌에서 일어나는 화학적인 변화를 연구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데, 이는 뇌의 발달이 다른 모든 발달이 일어나는 청소년기에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콜롬비아에서 전직 게릴라들을 대상으로 뇌 영상을 얻을 수 있었던 기회가 있었다. 이들 중에서 일부는 유년기에 쓰고 말하기를 배운 적이 없으며, 다시 콜롬비아 사회로 재흡수 되었다. 이와 같이 늦게 언어를 배운 뇌 구조는 정상적으로 언어를 배운 대조군에 비해서 언어에 관여하는 뇌 영역에 대한 비교가 있었다. 읽기에 관여하는 영역인 왼쪽 및 오른쪽 각진 대뇌구 간의 상호 연결은 읽기를 학습하는 시점과 언어 능력과는 상관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009년10월15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해마에 존재하는 위치 세포에서의 세포 내 다이나믹
표지 기사: 신피질 신경 전구세포의 비대칭적 중심체 전달
스핀 아이스에서 자기적 단극의 전하 및 전류 측정
자가 조립 나노 입자 초격자 생성을 통한 준결정
스트레커 반응을 이용한 알파 아미노산 합성
그린란드 및 남극 대륙빙 가장자리에서의 다이나믹컬 씨닝 관측
해양 고세균에 의한 호기성 암모니아 산화
속임수에 저항성을 가진 돌연변이 Dictyostelium
언어 학습에 관여하는 뇌영역에 대한 해부학적 영상 분석
성 및 종간 구분에 관여하는 초파리 페로몬 분석
빛에 의해서 조절되는 단백질을 이용한 세포 신호 조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