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표지 기사: 맨발과 신발을 신은 사람의 바이오메카닉스 분석
Nature 463, 7280
1970년 대에 현대식 밑창으로 만들어진 러닝화가 등장하기 이전인 인류 진화 역사 대부분의 기간 동안, 인간들은 맨발이나 아주 최소한의 신발만을 신었었다. Daniel Lieberman과 공동 연구원들에 의한 바이오메카닉스(biomechanics) 분석을 통해서 맨발이 훨씬 더 편할 뿐만 아니라, 충격에 의한 반복적인 스트레스성 손상을 받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운동학 및 역학적인 분석을 통해서 현대식 신발은 사람들이 걸을 때 발 뒷꿈치로 착지하도록 만든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발을 신지 않은 사람들은 발의 엄지 발가락 뒤 볼록한 부분 또는 발을 편평하게 하여 걸었다. 이는 신발을 신지 않은 사람들이 신발을 신은 사람들 보다 걸을 때에 훨씬 더 많이 발목을 구부린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표지 사진: 실험에 참가했던 케냐 청소년의 발. 이들은 신발을 한번도 신은 적이 없으며, 하루에 20킬로미터를 달리기도 한다. 이들의 발은 건강하고 튼튼했다.
2010년1월28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전신 순환 신호에 의한 혈액 세포의 노화 조절
세균의 비타민 K 에폭시드 환원효소 구조 분석
장간막 림프절에서 새롭게 발견된 선천성 면역세포
기후 온난화에 영향을 주는 전세계 탄소 순환
감마선 폭발이 존재하지 않는 lbc형 초신성의 분출 현상 관측
표지 기사: 맨발과 신발을 신은 사람의 바이오메카닉스 분석
침팬지와 인간 Y 염색체 간의 비교 분석
텅스텐을 이용한 탄소-탄소 결합 절단 방법
리만-피크 질환과 관련된 리소좀 이상을 정상화시키는 Hsp70
대장균을 이용한 지방산 에스테르와 같은 바이오 연료 생산
지기와 비자기 인식에 관여하는 CRISPR RNA 면역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