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커버스토리: 대장균의 전체적 대사 흐름 분석

Nature 427, 6977

게놈 염기서열 분석 및 기능 유전체학으로부터 쏟아져 나온 데이터들은 생물학에서 오랫동안 강조되어 오던 환원주의를 시스템에 기초한 이론 및 실험적 분석으로 전환시켰다. 흐름 평균 분석(flux balance analysis)이 적용되고 있는 방식 중에 하나이며, 시스템 내에서 일어나는 모든 대사 반응(mebabolic reaction)에서의 흐름을 제공하고 있다. 이제 이와 같은 접근 방식이 대장균(Escherichia coli)과 같은 미생물 전체의 대사과정에 적용되게 되었으며, 모델링을 통한 분석 결과 대사 네트워크에 대한 이용이 한쪽으로 매우 치우쳐져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즉, 대부분의 반응들은 흐름이 매우 적었으며, 반면에 하이 플럭스 반응(high flux reaction)의 백본(backbone)에 의해서 대사 반응이 조절되었다. 성장 조건이 바뀔 때마다 하이 플럭스 백본(high flux backbone) 내에서의 대사 경로는 쉽게 재편성되었지만, 대부분의 로우 플럭스(low flux) 대사 경로들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표지 사진: 대사 네트워크. 하이 플럭스 대사 경로가 흰색으로 표시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