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행성 및 항성에서의 자기장 형성에 대한 에너지 흐름 측정
Nature 457, 7226
일부 행성 및 대부분의 항성들은 대류에 의해 움직이는 다이나모 프로세스(dynamo process)에 의해서 생성되는 자기장을 가지고 있다. 방출된 빛에 대한 영향력으로부터 알 수 있는 항성계(stellar field)는 지구에 1000배 정도이기 때문에, 만일 다이나모 메커니즘이 모든 천체에서 동일하다면, 자기장의 세기를 3배 정도 차이가 나게 될 것이다. Christensen 등은 에너지 흐름과 자기장의 세기를 연관시키는 단순한 법칙을 만들었으며, 이는 항성과 행성에 유사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였고, 이들이 자기장을 만들 수 있는 매우 빠른 속도로 자전하고 있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지오다이나모(Geodynamo) 및 항성 다이나모(stellar dynamo)에 대한 컴퓨터 모델은 Christensen이 만든 법칙을 입증하였으며, 모델을 통한 예측은 지구, 목성, 그리고 두 그룹의 항성에서 관측된 자기장과 일치하였다. 중간 정도의 질량을 가지는 천체인 갈색왜성(brown dwarf star)과 초거대 태양계 외부 행성(supermassive extrasolar planet)은 이러한 메커니즘의 이러한 메커니즘을 만들기에 충분한 강력한 자기장을 가지고 있어야만 하지만, 우리의 태양은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기에는 너무 천천히 자전하고 있다.
2009년1월8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단백질 펩타이드 결합 형성에 대한 리보솜에서의 품질 관리
다이네인 조절 복합체에 의한 섬모 조절 및 이석 생성
표지 기사: 광범위 우주공간에서의 카시미르-리프싯 에너지
명금류에서의 울음 소리 처리에 대한 오류 감지 뇌회로
바이러스성 뇌막염에서 골수성 세포에 의한 뇌혈관 손상
LKB1/AMPK에 의한 C. elegans 다우어 조절 메커니즘
소행성에서의 지각 구조 형성
면역학적 반응에서 나타나는 기억 T세포 집단의 성장
신생대 규조류의 생물 다양성
만성 염증성 반응과 간암 세포 성장의 상관 관계
행성 및 항성에서의 자기장 형성에 대한 에너지 흐름 측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