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만성 염증성 반응과 간암 세포 성장의 상관 관계
Nature 457, 7226
특정 종류의 만성 염증 반응이 특정 암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다. 최근 간암 세포 조직에 대한 유전학적 연구 결과를 통해서 염증 반응성 신호전달 경로에 관여하는 인터루킨 6 공수용체 gp130(interleukin-6 co-receptor gp130)을 암호화하고 있는 IL6ST 유전자에서의 기능 획득 돌연변이가 양성 간암 세포의 초기 발달 단계에서 작용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IL6ST의 이러한 돌연변이는 흔히 베타-카테닌(beta-catenin) 돌연변이와 같이 발견되며, 이들이 같이 작용하여 종양 생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제안되고 있다.
2009년1월8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단백질 펩타이드 결합 형성에 대한 리보솜에서의 품질 관리
다이네인 조절 복합체에 의한 섬모 조절 및 이석 생성
표지 기사: 광범위 우주공간에서의 카시미르-리프싯 에너지
명금류에서의 울음 소리 처리에 대한 오류 감지 뇌회로
바이러스성 뇌막염에서 골수성 세포에 의한 뇌혈관 손상
LKB1/AMPK에 의한 C. elegans 다우어 조절 메커니즘
소행성에서의 지각 구조 형성
면역학적 반응에서 나타나는 기억 T세포 집단의 성장
신생대 규조류의 생물 다양성
만성 염증성 반응과 간암 세포 성장의 상관 관계
행성 및 항성에서의 자기장 형성에 대한 에너지 흐름 측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