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단일 염기서열 돌연변이 비율
Nature 455, 7209
최근 다양한 종에서 개체간의 DNA 염기서열 차이를 밝히려는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차이가 돌연변이 ‘핫-스폿(hot-spot)’에 집중되고 있다. 효모, 벼, 초파리, 설치류, 그리고 유인원을 포함하여 10가지 지놈을 이용하여 삽입 및 결손 주변에서의 단일염기 치환의 분포에 대한 비교 분석이 수행되었으며, 유전적 변이의 레벨은 모든 비교에서의 결손으로부터의 거리와 강력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게다가, 결손의 크기와 빈도는 지역적인 염기 다양성에 상당한 영형을 미쳤다. 이번 연구결과는 결손 부위가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흔한 메커니즘이며, 이들이 지놈의 진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2008년9월4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정보의 홍수에서 살아남기: 빅 데이터 스페셜
마이크로 RNA에 의한 단백질 합성 조절
BMP 신호전달 경로를 조절하는 제 4형 콜라겐
은하 중심의 초거대 블랙홀의 크기
철을 기반으로 하는 초전도체의 모트 절연체 상태
코폴리펩타이드를 이용한 WOW 안정화
최대 풍속이 증가하는 사이클론의 진화
포식자를 피하기 위한 나방의 다양한 경계 시스템
거대 미미바이러스에 기생하는 바이러스파아지
단일 염기서열 돌연변이 비율
HIV gp120에 대한 구조 분석
중추신경계에서 Rnd2에 의해 조절되는 뉴로제닌 -2
오로라 A 키나아제에 의한 PLK1 조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