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갈색지방세포와 근육세포를 같이 조절하는 PRDM16
Nature 454, 7207
인간의 체내에는 두 가지 종류의 지방 세포가 존재하고 있다. 갈색 지방세포는 칼로리를 소비하여 체온을 유지하는 것을 주요 기능으로 하고 있으며, 백색 지방 세포는 에너지 저장소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 갈색 지방 세포가 근골격계로부터 유래하였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이를 통해 두 조직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는 기회가 되었다. 지금까지 지방 조직의 발달에 대한 대부분이 모델에서는 갈색 및 백색 지방세포 모두 일반적인 지방 생성 전구 세포로부터 유래하였을 것으로 예측했었다. 하지만 in vivo에서 근원 세포를 추적한 결과, 갈색 지방세포는 근육 세포에서만 발현되는 Myt5 유전자를 발현하는 근아세포(myoblastic cell)로부터 유래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리고 갈색 지방 세포에서의 선택적인 유전자 발현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징크 핑거 단백질(zinc-finger protein)인 PRDM16은 근육 또는 지방 세포로의 세포 운명을 양방향으로 조절하는 강력한 스위치 역할을 한다. 갈색 지방 세포로의 전환에서 PRDM16은 비만에 대한 치료에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표지 사진: shRNA에 의해서 PRDM16의 발현이 억제된 백색 지방 세포. 근아세포는 적색, 지방 및 다른 세포들은 청색으로 핵이 염색되어 있다.
2008년8월21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갈색지방세포와 근육세포를 같이 조절하는 PRDM16
NGC 1275에서 방출되는 이온화 가스 필라멘트의 내부 자기장
화성 대기권의 불균질한 화학 조성
반도체 코팅을 이용한 새로운 특성의 금속재료
금 나노입자에 의한 산화 촉매 작용
표현형 노이즈에 의한 자기 파괴적 협동
심해저면 침전물에서 우점하고 있는 고세균
신경 세포 간의 신호 전달 협력 관계
갈색지방 세포 조절에 관여하는 BMP-7
숙주 WASP 계열 단백질을 활성화 시키는 O157의 EspFu
자기장을 감지하는데 관여하는 크립토크롬
C. elegans의 유전적 다형성에 대한 최초 분석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