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유사 분열 생쥐 수정란을 이용한 줄기세포 복제
Nature 447, 7145
이번 주 네이처에 발표된 논문을 통해서 클로닝 분야에서 오랫동안 지속되어온 잘못된 오해를 바로 잡을 수 있게 되었다. 1980년대에 최초의 핵 이식 실험이 수행된 이후로, 성공적인 동물 복제와 배아 줄기 세포주를 만들기 위해서는 체세포 핵을 수정되지 않은 감수 분열된 난자에 전달해야 한다고 생각되어 왔다. 생쥐의 세포를 이용한 일련을 실험들을 통해서 Egli 등은 접합체 내에서 수정이 이루어진 후에도 재프로그램화 활성이 지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핵의 재프로그램화 및 복제된 동물의 생물학적 상태에 대해서 우리가 좀더 잘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서 여성으로부터 난자를 공여 받는 것보다, 인공 수정 클리닉에서 폐기되는 수정란이나 난할 세포가 인간 배아 줄기세포주를 만드는데 더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지 사진 : 염색체를 전달한 후 첫번째 유사분열 이후에 정지된 접합체이번 주 네이처에 발표된 논문을 통해서 클로닝 분야에서 오랫동안 지속되어온 잘못된 오해를 바로 잡을 수 있게 되었다. 1980년대에 최초의 핵 이식 실험이 수행된 이후로, 성공적인 동물 복제와 배아 줄기 세포주를 만들기 위해서는 체세포 핵을 수정되지 않은 감수 분열된 난자에 전달해야 한다고 생각되어 왔다. 생쥐의 세포를 이용한 일련을 실험들을 통해서 Egli 등은 접합체 내에서 수정이 이루어진 후에도 재프로그램화 활성이 지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핵의 재프로그램화 및 복제된 동물의 생물학적 상태에 대해서 우리가 좀더 잘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서 여성으로부터 난자를 공여 받는 것보다, 인공 수정 클리닉에서 폐기되는 수정란이나 난할 세포가 인간 배아 줄기세포주를 만드는데 더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지 사진 : 염색체를 전달한 후 첫번째 유사분열 이후에 정지된 접합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