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커버스토리: 뉴클레오솜 위치에 대한 지놈 코드
Nature 442, 7104
진핵 세포의 지놈은 in vivo에서 DNA 상태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크로마틴(chromatin)으로 알려져 있는 단백질-DNA 복합체를 구성하고 있다. 크로마틴은 DNA가 히스톤 단백질 코어에 단단히 감겨있는 뉴클레오솜(nucleosome)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뉴클레오솜은 DNA에 결합하는 단백질의 접근을 차단하여 억제체(repressor)로 작용하게 된다. 뉴클레오솜 형성이 훨씬 잘되는 DNA 염기서열을 찾기 위해 컴퓨터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함으로써 지놈 전체에 흩어져 있는 뉴클레오솜 체제를 예측할 수 있었다. 효모 지놈에는 고유의 뉴클레오솜 조직이 암호화되어 있으며, in vivo에서의 뉴클레오솜의 전체 위치 가운데 절반 정도를 알려주고 있다. 진핵 세포들 간에 매우 잘 보존되어 있기 때문에, 뉴클레오솜 염기서열은 전사 인자(transcription factor)들이 결합 위치에 결합할 수 있게 하며, 염색체 기능과 관련된 다양한 일들을 수행한다. News & Views 란에서는 DNA 염기서열 및 뉴클레오솜 포지셔닝에 대한 다양한 조절 인자들의 역할에 대해 다루고 있다. 표지 사진 : 몇 개의 뉴클레오솜을 포함하고 있는 크로미틴의 그래픽 이미지(Helit Sayfan Altman제공) [Article, 77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