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초기 우주에서의 은하 중심 커스프 제거
Nature 442, 7102
비록 천문학적 모델이 거대 스케일의 우주 구조를 성공적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소규모 스케일에 대해서는 정확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은하계 중심부 인근에 위치하고 있는 낮은 암흑 물질 밀도(lower dark matter density)를 예측한 모델은 관측을 통해 확인되었으며, 이는 은하계의 암흑 물질 홀(galactic dark matter hole)이 ‘편평한’ 중심 핵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Mashchenko 등은 작은 원시 은하에서 초신성의 형태에 의한 별의 피드백(stellar feedback)에 의한 가스의 무작위적인 대규모 움직임이 중심부 암흑 물질 커스프(central dark matter cusp)의 평면화(flattening)을 유도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수학적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이러한 파라독스(paradox)를 해결하였다. 이러한 커스프는 한번 제거되고 나면 뒤따른 은하계 통합(galactic merger)에도 다시 재도입 되지 않기 때문에, 현재의 우주에 존재하는 소규모 및 대규모 은하계들이 모두 편평한 중심부의 암흑 물질 코어 밀도 프로필(flat dark matter core density profile)을 가지고 있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