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프리온 구조를 결정하는 물리적 근거
Nature 442, 7102
프리온 단백질(prion protein)과 동일한 입자가 in vivo에서 또 다른 표현형 또는 ‘특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파라독스는 프리온의 구조적 차이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Tanaka 등은 특정 프리온 ‘형태’의 출현을 유도하는 다양한 물리적 변수(physical parameter)의 상호작용을 설명할 수 있는 분석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들의 연구 결과를 통해서 프리온 분화(prion division)를 촉진하는 불안정성 증가에 따라 천천히 성장하는 입자에 의해서 가장 강력한 표현형이 만들어진다는 것이 밝혀졌다. 보다 더 성장하기 위한 새로운 핵을 형성시키는 프리온 입자의 경향은 감염성 프리온과 비 감염성 아밀로이드 모두에 커다란 생리학적 영향(physiological impact)를 주는 핵심 인자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