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SARS-CoV-2 오미크론 BA.2의 특성과 항바이러스 감수성
Nature 607, 7917
이 논문에서는 햄스터와 마우스에서 오미크론 변이 BA.1과 BA.2의 유사한 병원성을 보여주었으며, 여러 단일클론 항체와 항바이러스 치료제들이 오미크론/BA.2 변이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2022년7월7일 자의 네이처 하이라이트
표지 기사: 힉스(Higgs) 10년
최초의 퀘이사(Quasars)를 생성하는 격렬한 냉각 흐름(Turbulent cold flow)
33 km 떨어진 전기통신 섬유에서 단일 원자들의 얽힘(Entangling)
전자 유체에서 난류(Vortices)의 직접 관찰
다강체(Multiferroic)에서 위상적으로 보호된 자기전기 전환(Magnetoelectric switching)
합성 [Mo3S4Fe] 입방체의 Fe 위치에 의한 질소 환원
조류의 횃대 안착의 최적화
중증 COVID-19와 관련된 숙주 요인을 밝힐 수 있는 전체 유전체 서열 분석
마우스에서 가려움에 대한 메커니즘을 변화시킨 PIEZO1
전세계 해양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의 생합성 가능성
SARS-CoV-2 오미크론 BA.2의 특성과 항바이러스 감수성
SARS-CoV-2 mRNA 3차 접종 후 증가된 기억 B 세포 역가 및 범위
CD8+ T 세포 운명 초기에 협력하는 cBAF 복합체 구성성분과 MYC
Zeb2 인핸서(Enhancer) 내에서 3중 돌연변이에 의한 cDC2 발달의 제거
새로운 종양 항원을 밝히는 in vivo 면역 펩티드(Immunopeptidome)의 해독
수면 동안 가속화되는 유방암의 전이 확산
췌장암에서 세포 이질성을 유지시키는데 필요한 GREM1
솔세포(Tuft cell) 계통에서 POU2F3의 보조 활성인자인 OCA-T1과 OCA-T2
인간 인핸서(Enhancer)와 프로모터 서열의 호환성 규칙
리보솜 소단위체(Subunit)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개시자 tRNA를 재배열하는 elF5B 및 elF1A
Type IV 분비 시스템의 Cryo-EM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