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이산화탄소를 통한 대륙 하천 유거수 기록 분석
Nature 439, 7078
인류의 물 사용량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 10년 동안 대륙의 하천 유거수가 상승추세를 유지해 왔었다. 일부 연구원들은 이러한 현상이 기후 변화에 의한 것으로 주장했었다. Gedney 등은 기계적 지표면 모델(mechanistic land-surface model) 및 개별적인 요소들의 기여도를 확인할 수 있는 통계학적 ‘핑거프린팅’ 법(statistical fingerprinting method)을 이용하여 이 분야를 조사했다. 기후 변화가 유거수 변화에 영향을 줬을 가능성이 확인되었지만, 전체적인 변화를 가져오기에는 충분하지 않았다. 이산화탄소에 의해 유발된 기공 차단(stomatal closure)에 따른 증산 작용 감소가 보다 영향력이 높은 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지금까지, 이러한 영향은 미래 물 자원 예측에서 간과되어 왔었다. 향후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식물의 물 이용량이 감소함으로써 담수 유용성과 홍수 위험성이 증가할 것으로 여겨지며, 증발에 의한 에너지 손실 감소에 의해 지표면 온도 상승 가능성도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