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하이라이트

Caspase-11의 아르기닌 ADP-riboxanation에 의한 Pyroptosis를 회피하는 Shigella

Nature 599, 7884

많은 장내 세균성 병원체는 Caspase 센서를 통해 세균성 LPS를 직접 감지하고 Pyroptosis를 활성화하는 염증조절복합체(Inflammasome)와 같은 숙주 면역 신호전달 시스템을 방해하는 이펙터(Effector) 단백질을 포함하여 숙주 방어 메커니즘과 싸우기 위한 전략을 발전시켰다. 인간 병원체 Shigella flexneri의 발병 기전을 연구하는 Feng Shao와 연구진들은 감염 동안 이펙터 중 하나인 OspC3에 의해 매개되는 ADP-riboxanation이라는 새로운 PTM (Post-translational modificaion)을 확인하였다. 연구진들은 OspC3가 ADP 리보스(Ribose)의 표적 단백질의 아르기닌 잔기로의 전이를 촉매하고, 이어서 탈아미노화를 포함하는 특이한 두 번째 촉매 단계가 뒤따르며, 이는 새로운 "Riboxanation" 변형을 초래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Caspase-11(마우스) 및 Caspase-4(인간)의 이러한 변형은 LPS 유도 Caspase-4/11 자동 처리 및 Pyroptosis를 억제하여 병원체가 이 면역 메커니즘을 회피할 수 있게 한다. 다양한 박테리아 중 OspC 이펙터의 큰 패밀리를 감안할 때 ADP-riboxanation은 세균이 숙주를 조절하는데 사용하는 광범위한 전략일 수 있다.